반응형 전체 글69 50대 이후, 서울시 중장년 복지지원 (일자리·주거·건강·교육) 50대가 넘어서니 정말 일자리 구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. 아르바이트 자리 하나 구하는 것도 쉽지 않네요.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40대까지인 것처럼 느껴집니다. 그 이후 나이가 되면, 어디든 들어가기가 너무 힘듭니다. 저도 지난달 초 어렵게 아르바이트 자리를 하나 구했는데, 겨우 이틀 만에 잘렸습니다.유명한 샤부샤부 체인점이었는데, 잘린 이유를 여쭤보니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."나이가 너무 많으셔서 아무래도 저희 매장과는 잘 맞지 않으신 것 같아요."'나이가 많으셔서'라는 말을 한 세 번은 들은 것 같습니다.요즘 같은 100세 시대에 50대가 나이 많다는 이유로 일자리를 거절당한다는 게 정말 속상했습니다. 아직도 일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은데, 나이만으로 기회를 잃는 현실이 너무 씁쓸하네요. 50.. 2025. 4. 3.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, 어떻게 받을까? (대상, 조건, 지원금액 등) 제 남편은 부산 출신입니다. 약 20여 년 전, 서울에 취업하면서 처음으로 월세살이를 시작했는데, 당시 보증금 300만 원에 월세 30만 원짜리 작은 방에서 자취를 시작했습니다. 사회 초년생이었던 남편은 백만 원대의 월급으로 생활비와 월세를 감당하느라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월급을 모으는 건 사실상 불가능했고, 그런 상황이 반복되며 자연스럽게 악순환에 빠지게 되었죠.그 시절엔 청년을 위한 월세 지원 제도 같은 게 전혀 없었습니다. 지금처럼 제도적 뒷받침이 있었다면 좀 더 안정적인 출발을 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큽니다. 요즘은 다양한 청년 주거지원 정책이 마련되어 있어, 참 좋은 세상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.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와 취업하는 청년들이 여전히 많습니다. 이들에게 .. 2025. 4. 3. 서울시 복지정책 총정리 (어르신, 청년, 장애인, 저소득층, 건강) 안녕하세요. 오늘부터 블로그에 첫 글을 쓰게 되어 인사드립니다.저는 서울시에 거주 중인 50대 초반의 여성입니다.평소 복지 정책에 큰 관심이 있어 다양한 자료를 찾아보곤 했는데요,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용한 정책들이 정말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. 이런 좋은 정보들을 혼자 알기보다는, 더 많은 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어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 앞으로 하루에 한 편씩, 꾸준히 유익한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. 특히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정책과 지원 제도들을 중심으로,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서 소개해드릴 계획입니다. 먼저, 첫 번째로 소개할 소식은 2025년 서울시 복지정책 총정리입니다.서울시는 ‘모두를 위한 복지’를 목표로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복지정책을 대대적으로 강화.. 2025. 4. 3. 이전 1 ··· 9 10 11 12 다음